대손비용 절감에 순이익 21.3% 증가 베트남·인도 점포 가장 많아, 현지화 ‘2+’ 등급 유지
지난해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수익성과 건전성이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손비용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점이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현지화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당기순이익은 16억1,400만 달러(약 2조1,970억원)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이는 국내은행 전체 순이익의 10.7%에 해당하는 규모다.
총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대손비용이 더 큰 폭으로 줄면서 순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해외점포 수는 총 206개로, 41개국에 분포해 있으며 전년 말 대비 4개 점포가 늘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과 인도에 각각 20개 점포가 가장 많았고, 이어 미국(17개), 중국(16개), 미얀마(14개), 홍콩(11개)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현지화 지표 종합평가 등급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2+’ 등급을 유지했다. 국가별로는 캄보디아 소재 점포가 ‘1+’ 등급으로 가장 높은 현지화 수준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해외점포의 현지화 수준과 본점의 국제화 수준을 평가해 종합 등급을 산출하며 현지 밀착 경영을 장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문화저널21 배소윤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cjk@mhj21.com)
![]()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