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항준 칼럼] 10만 양병과 10억개의 질문, 소버린 빌더가 필요하다

박항준 | 기사입력 2025/06/26 [10:15]

[박항준 칼럼] 10만 양병과 10억개의 질문, 소버린 빌더가 필요하다

박항준 | 입력 : 2025/06/26 [10:15]

 

 

종이의 발명으로 정보와 지식의 체계가 새 문명을 연 지 2천 년, 우리는 이제 종이를 넘어서는 문명 매개기술, 곧 AI 시대의 초입에 서 있다. 이 새로운 문명은 기술 그 자체가 아니라, 그 기술이 담고 있는 언어와 문화, 역사와 철학의 내용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그래서 최근 AI 주권, 즉 ‘소버린 AI’의 개념이 세계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AI는 단순한 알고리즘이 아니라, 질문하는 방식과 해석의 틀, 즉 세계를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뛰어난 모델을 개발한다 해도, 그 핵심을 이루는 요소는 다름 아닌 ‘데이터’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는 저전력·저비용을 강조하며 주목받고 있지만, 진정한 경쟁력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에 있다. 중국은 이미 국가 차원에서 자국 언어, 역사, 문화, 정치 체계를 반영한 고유 데이터 세트를 조직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다. AI 기술은 따라잡을 수 있어도, 데이터 주권은 따라잡기 어렵다. 데이터는 곧 인식의 힘이고, 주권의 실체다.

 

이제 우리는 ‘데이터 독립’을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한다. 과거 이이가 10만 양병을 주장했듯이, 오늘날 우리는 상징적으로 10만 명의 ‘지식 전사’, 곧 소버린 빌더를 길러야 한다. 이들은 단순한 태깅 요원이 아니다. 역사학자,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심리학자, 언어학자, 예술가들이자, 한국형 LLM의 뼈대를 설계하는 ‘질문 디자이너’다. 이들이 수천만 건의 질문을 만들고 다듬으며, 그 질문은 곧 우리 사회의 감수성과 논리를 반영한 새로운 지식 인프라가 된다.

 

앞으로 3년에서 5년, 이 시기는 단지 AI 모델을 개발하는 시간이 아니다. 우리만의 질문을, 우리 말로, 우리 관점에서 설계하고 정립하는 시기다. 한국형 나무위키가 필요하과 전문가가 관리하여야 한다.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는 단순한 정보의 나열이 아니라, ‘매개변수의 철학’이다. 이 철학은 단지 독도가 누구의 것인가를 따지는 역사적 사실의 문제를 넘어서, 국민의 윤리와 도덕, 문화적 정서와 논리의 맥락을 담는다.

 

종이의 발명으로 정보와 지식의 체계가 새 문명을 연 지 2천 년, 우리는 이제 종이를 넘어서는 문명 매개기술, 곧 AI 시대의 초입에 서 있다. 이 새로운 문명은 기술 그 자체가 아니라, 그 기술이 담고 있는 언어와 문화, 역사와 철학의 내용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그래서 최근 AI 주권, 즉 ‘소버린 AI’의 개념이 세계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AI는 단순한 알고리즘이 아니라, 질문하는 방식과 해석의 틀, 즉 세계를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뛰어난 모델을 개발한다 해도, 그 핵심을 이루는 요소는 다름 아닌 ‘데이터’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는 저전력·저비용을 강조하며 주목받고 있지만, 진정한 경쟁력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에 있다. 중국은 이미 국가 차원에서 자국 언어, 역사, 문화, 정치 체계를 반영한 고유 데이터 세트를 조직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다. AI 기술은 따라잡을 수 있어도, 데이터 주권은 따라잡기 어렵다. 데이터는 곧 인식의 힘이고, 주권의 실체다.

 

이제 우리는 ‘데이터 독립’을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한다. 과거 이이가 10만 양병을 주장했듯이, 오늘날 우리는 상징적으로 10만 명의 ‘지식 전사’, 곧 소버린 빌더를 길러야 한다. 이들은 단순한 태깅 요원이 아니다. 역사학자,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심리학자, 언어학자, 예술가들이자, 한국형 LLM의 뼈대를 설계하는 ‘질문 디자이너’다. 이들이 수천만 건의 질문을 만들고 다듬으며, 그 질문은 곧 우리 사회의 감수성과 논리를 반영한 새로운 지식 인프라가 된다.

 

박항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

반려가족누림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한국디지털웰니스협회 부회장

디케이닥터 대표이사

누림경제발전연구원장

기술거래사/기업기술가치평가사

공)저서. 더마켓TheMarket / 스타트업 패러독스 / 크립토경제의 미래

좌충우돌 청년창업 / 블록체인 디파이혁명 / CEO의 인생서재

/ 이노비즈 CEO독서클럽 선정도서 21選 (사회관 편) (세계관 편)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