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시장 메커니즘으로 ‘사회적 가치 거래’ 방안을 제시했다.
19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산하 슈왑재단 총회 개회식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거래 가능한 가치로 파악할 수 있다면 시장 시스템은 더 활발하게 움직일 것”이라며 “사회적 가치 거래를 통해 이윤 창출과 사회 혁신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한 의지만으로는 사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성과를 화폐적으로 정확히 측정하고 세제 혜택 등 금전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면, 기업이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개회식에서는 세계경제포럼 슈왑재단과 SK그룹 산하 비영리 연구재단인 사회적가치연구원이 공동으로 작성한 보고서 ‘가치의 재정의: 성과 기반 금융에서 사회적 가치 거래로’가 발표됐다.
사회적가치연구원 측은 해당 보고서가 세계 최초로 주류 경제를 대상으로 사회적 가치 거래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본격 제안한 보고서라고 소개했다.
최 회장은 이 보고서의 서문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에 직면한 글로벌 경제의 근본을 재구상하는 시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적 가치 거래란 기업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 성과를 화폐적으로 측정해, 이에 상응하는 크레딧(Credits)을 제공하고 이를 거래하는 시장 시스템을 말한다.
정부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기업에 대해 직접 보상을 하거나, 세액공제 및 세액공제권 거래제도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기업은 이러한 제도를 활용해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 사회 문제 해결 요소를 접목하고, 성과에 따라 경제적 보상을 얻어 기업의 수익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이 정착되면 사회적 가치 창출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사회 전체적으로는 더 많은 사회 문제가 해결되는 ‘후생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은 지난 2013년에도 세계경제포럼에서 사회성과인센티브(Social Progress Credits) 개념을 처음 제안한 바 있다. 이후 SK는 지난 10여 년간 국내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문제 해결 성과를 측정하고 이에 대해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젝트’를 운영해왔다.
해당 프로젝트에는 약 500여 개의 사회적 기업이 참여했으며, 이들이 창출한 사회문제 해결 성과는 약 5000억 원에 달한다. SK는 그 보상으로 약 700억 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했다.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 대표는 “국제사회에서는 이미 성과 기반 보상 방식을 채택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며 “더 많은 기관의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 혁신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슈왑재단은 세계경제포럼이 지난 1998년 설립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사회 혁신 네트워크로, 2024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120개 이상의 기관 회원과 500여 명의 사회 혁신가, 10만여 명의 사회적 기업가를 지원하고 있다.
문화저널21 배소윤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cjk@mhj21.com)
![]()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