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검찰총장, 비화폰 통화로 특검 수사 가능성

최병국 기자 | 기사입력 2025/06/19 [10:56]

심우정 검찰총장, 비화폰 통화로 특검 수사 가능성

최병국 기자 | 입력 : 2025/06/19 [10:56]

‘비화폰·자녀 특혜 채용 의혹’이 불거진 심우정 검찰총장을 둘러싼 여권의 전방위 공세가 거세지면서, 심 총장의 거취를 둘러싼 검찰 안팎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19일 현재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여권은 심 총장이 지난해 10월 비화폰을 사용해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통화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특검 수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상황에 따라 실제 특검이 가동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히 조국혁신당은 심 총장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1988년 검찰총장 임기 2년제가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25명이 검찰총장을 거쳐 갔지만, 임기를 온전히 마친 인물은 단 9명에 불과하다. 심 총장 역시 임기 만료까지 자리를 지키기 어렵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민정수석과 비화폰 통화 후 김건희 여사 무혐의…여권, 강도 높은 수사 촉구

 

심우정 검찰총장은 지난해 9월 16일 제46대 검찰총장으로 취임했다. 문제가 된 비화폰 통화는 같은 해 10월 10~11일로,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이 불거진 시기와 맞물린다. 이후 같은 달 17일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무혐의 처분해 논란이 확산됐다.

 

심 총장은 지난 3월 윤 전 대통령이 구속 취소로 석방되자 즉시 항고를 포기해 민주당 등 야권으로부터 강한 비난을 받았다.

 

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 소속 의원들은 지난 16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찾아 심 총장이 내란 수사를 부실하게 했다며 특수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했다. 민주당 검찰총장 자녀 특혜·채용 비리 조사단도 지난 17일 심 총장을 자녀의 국립외교원 채용 과정과 관련해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여권의 공세가 거세지고, 심 총장이 특검 수사 대상으로까지 거론되면서 검찰 내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 “김건희 특검 수사 대상”…퇴진 시기 관심 집중

 

심 총장은 김주현 전 민정수석과의 비화폰 통화 의혹에 대해 지난 16일 대검찰청을 통해 “김 전 수석과 검찰 정책과 행정에 관한 통화를 했을 뿐 사건 관련 통화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민주당 명태균게이트진상조사단은 즉각 사퇴와 특검 수사를 거듭 촉구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도 “심 총장의 비화폰 사용은 공무상 비밀누설과 국기문란에 해당할 수 있으며, 김건희 특검법의 수사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자녀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 심 총장은 “근거 없는 의혹”이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채용됐고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미 소명했다”고 반박했지만, 관련 수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심 총장이 내년 9월까지 임기를 지킬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1988년 검찰총장 임기제가 시작된 이후 노무현 정부 초기 김각영 총장이 대통령의 공개적인 사퇴 요구로 물러난 사례처럼, 현재 상황이 당시와 유사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심 총장은 현재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여권의 거센 공세에 깊은 고민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법무부 장관과 서울중앙지검장 등 주요 보직이 공석인 상황에서 조직 동요를 막기 위해 자리를 지키겠다는 입장이지만, 측근들에게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정권 교체 시 검찰총장이 교체된 전례와 여권의 고강도 검찰개혁 기조를 감안할 때 심 총장이 임기를 끝까지 채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향후 검찰 수사 방향과 함께 심 총장의 퇴진 시기와 특검 수사 여부가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저널21 최병국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