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평균 14억3,895만원에 거래 강남 3구, 평균 20억원 이상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4천600건을 넘어선 가운데, 주침했던 가격도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직방(대표 안성우)이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국민평형(이하, 국평)이라 불리는 아파트 값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살펴본 결과 2월 실거래가격 기준으로 평균 14억3,895만원으로 집계됐고, 이 중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세 곳은 평균 가격이 2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국평은 (구)30평형대, 전용면적 84m2 전후를 말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평 아파트가 가장 비싸게 거래된 곳은 서초구로 31억4,043만원에 달했다. 이어 강남구 27억 634만원, 송파구 20억2,81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래미안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등의 거래가 이뤄지며 평균 가격을 끌어올렸다. 한강변 , 브랜드, 우수한 학군 등이 어우러져 고급 주거지로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강남구 역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삼성동 래미안라클래시 등의 준신축 아파트가 30억원 이상에 거래됐다. 다만, 논현동·역삼동·일원동 등 구축 단지의 거래가 더해지면서 평균 가격은 27억원 선을 나타냈다.
송파구는 헬리오시티, 리센츠, 잠실엘스, 트리지움, 파크리오 등 20억원 이상 아파트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2월 국평 아파트값이 20억원을 넘겼다.
강남 3구 외에도 용산구(19억1,413만원), 종로구(18억7,190만원), 성동구(16억1,137만원), 마포구(15억8,311만원) 등도 국평 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이 15억원을 넘었다. 반면, 도봉구(6억1,529만원)와 강북구(6억8,257만원)는 7억원 이하에 형성됐다.
직방은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대출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주택 시장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연말 연초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가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 외곽 지역에서도 하락 매물이 소진되며 일부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적극적인 추격 매수세가 뚜렷하지 않다”며 “이 흐름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저널21 박호성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