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효과" SK텔레콤, 1Q 영업익 13.8%↑…문제는 2분기

이한수 기자 | 기사입력 2025/05/14 [17:12]

"AI 효과" SK텔레콤, 1Q 영업익 13.8%↑…문제는 2분기

이한수 기자 | 입력 : 2025/05/14 [17:12]

▲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4조4537억 원, 영업이익 5674억 원을 기록했다.   ©문화저널21 DB

 

AI 사업 성장 지속 영향…영업이익, 전년比 13.8%↑

1분기 배당기준일 5월 31일…분기배당도 예측 가능성 높여

사이버 침해 사고…"고객 신뢰 회복 최선 다할 것"

 

SK텔레콤이 AI 사업 성장 지속 및 유무선 통신 가입자 증가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실적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최근 발생한 해킹 사태가 2분기 실적에는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5% 내린 4조4537억 원, 영업이익은 13.8% 늘어난 5674억 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3616억 원이었다.

 

SKT 관계자는 "매출은 AIX, 데이터 센터 등 AI 사업 및 유선 사업의 성장을 이뤘으나 지난해 단행된 일부 자회사 매각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며 "영업이익은 AI DC, AIX중심의 AI사업 성장 등으로 13.8%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분기 AI DC 사업은 데이터 센터 용량 및 가동률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성장한 102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분기당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는 성장 사업으로 자리매김 한 AI DC사업은 중장기적으로 하이퍼스케일급 AI DC 구축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AIX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7.2% 성장한 452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AI 클라우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B2B 사업도 AI 마케팅 신규 수주 확대 등으로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에이닷 비즈(A. Biz)는 베타 테스트를 통해 이르면 상반기 중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AI 서비스 영역 역시 에이닷(A.) 누적 가입자 900만 명을 돌파했다. 글로벌 향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스터(Aster)는 3월말 미국에서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올 하반기 정식 론칭에 나설 예정이다.

 

유무선 통신 사업 역시 5G를 비롯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2025년 1분기 배당금은 주당 830원으로 결정됐으며 배당기준일은 오는 31일이다. SKT는 지난 3월 정기주총에서 정관변경을 확정하고 분기배당도 배당금을 먼저 확정한 후 배당기준일을 지정하도록 절차를 변경해 배당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

 

SKT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고객 보호를 위해 비정상인증시도 차단 시스템인 FDS(Fraud Detection System)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운영하고 있으며 적용 가능한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을 완료하는 등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희망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료 교체를 시행 중이며 지난 11일 기준 총 147만 명의 고객이 교체를 완료했다.

 

또 지난 12일부터 실물 유심 교체 없이 기존 유심의 일부 정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유심 복제를 차단하는 '유심 재설정' 솔루션과 해외 로밍 중에도 고객 정보보호가 가능한 업그레이드된 유심보호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한다.

 

SKT는 고객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유심 교체·유심 재설정 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번호이동을 포함한 신규 가입 업무를 전면 중단하고 유심 관련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김양섭 SKT CFO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계기로 사업과 경영 전반을 되돌아보고 본원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SKT는 회사의 모든 역량을 고객 보호에 집중해 지난 40여년 간 이어 온 SK텔레콤의 신뢰를 변함없이 지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화저널21 이한수 기자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cjk@mhj21.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