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50년 만기에 달하는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상품을 내놓고 있어 눈길을 끈다. 현재 주담대는 DSR규제를 받는데 대출한도가 모자란 실수요자에게는 월 납입액을 낮춰 한도액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높아진 이자비용은 장기적으로 차주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냥 합리적인 선택지인 것은 아니다.
NH농협은행 50년 주담대 출시 하나은행, KB국민은행 등 잇따라 50년 상품 출시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이 시중은행으로는 처음으로 지난 5일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채움고정금리모기지론(혼합형)의 대출 한도를 50년으로 연장했다.
NH농협은행이 이같은 상품을 내놓자 이틀 뒤 하나은행도 주담대 상품의 만기를 기존 40년에서 50년으로 변경했다. KB국민은행 역시 14일부터 KB주택담보대출 등의 만기를 최장 50년까지 연장했다. 이 밖에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50년 만기 상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올해 초 SH수협은행은 은행권으로는 최초로 주담대 최장 만기를 기존 40년에서 50년으로 연장했다. 이어 DGB대구은행 역시 지난달 30일부터 주담대 상품 만기를 50년으로 늘린 바 있다.
이런 은행들의 행보는 한국은행의 계속되는 금리 동결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움직임으로 집값이 반등 조짐이 일자 늘어난 수요를 뺏기 위한 경쟁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이같이 과도한 은행들의 주담대 경쟁은 자칫 소비자들의 가계부채 상승과 주택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시선도 나오고 있다.
대출 만기 늘어나 당장의 부담 덜지만, 이자액 합계 원금 넘어 DSR 적용으로 대출액 증가하지만 훗날 눈덩이 빚 가능성
은행들의 공격적인 주담대 공급 행보로 50년 만기 상품이 주목을 받고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대출의 만기가 늘어난 만큼 DSR규제를 피해 대출 한도액을 높일 수 있겠지만 높아진 이자비용과 가계부채에 대한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50년 만기 상품의 이자비용을 계산해보면 50년 만기(연 4.4%) 주담대를 통해 5억원을 대출받았을 경우 원금 5억원을 제외하고 이자비용만 약 7억원 이상을 지출하게 된다. 원금을 상회하는 금액을 이자비용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주담대를 중심으로 은행권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6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5조9000억 원 늘어난 1062조3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직전 3개월 연속적으로 증가한 가계대출은 주담대 규모가 늘어난 영향이 가장 크다.
전문가들, 주택담보대출 상환금액 증가 경고 변동금리 상황서, 인상된 금리 부담 가능성도
한편, 전문가들은 신규 주담대를 고려중인 차주들의 경우, 50년 만기라는 초장기 대출 이용 전 상품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부분은 전체 상환금액의 증가다. 만기가 늘어나면 월 상환 규모는 줄어들지만, 전체 대출에 대한 이자 부담은 오히려 늘어나기 때문이다.
최장 40년간 연 3.5%의 금리로 5억원을 빌린 차주의 경우, 대출 기간 전체 기준 상환해야 하는 대출 이자는 4억 2974만원 가량이다. 반면, 기간을 50년으로 늘릴 경우에 부담해야 할 총 이자 금액은 5억5960억원 가량으로 1억7000만원 정도 증가한다.
특히, 50년 만기로 대출 기간을 설정할 경우에는 총대출 이자가 대출 원금(5억원)을 상회하는 결과로도 이어진다. 장기적 관점에서 차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여기에 주담대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어렵다. 대다수 주담대는 최초 5년간 고정금리, 이후에는 지표금리 변화에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가 적용된다.
실제로 지난 18일 기준, 국내 5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담대의 금리는 연 4.17%~5.89% 수준에 형성돼 있다. 전월 대비 0.14%p 오른 주담대의 준거금리 ‘코픽스(COFIX)’의 여파로 불과 하루 새 금리가 최소 0.04%p 올랐다.
이처럼 금리 상황이 시시때때로 변동하면서 추가 금리라는 부담이 차주에게 지워질 수 있다. 주택 가격이 오르면 중도에 대출을 상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저출산 시대라는 ‘상수’로 주택 시장의 수요가 얼어붙은 만큼 과거처럼 주택가격이 오른다는 보장 없이 평생 빚에 묶여살 수 있다는 점에서 50년 주담대라는 상품이 마냥 시장의 환영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문화저널21 최재원, 이환희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