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유제약 ‘유크리드’ 안전성 입증…SCI급 저널 게재1회 이상 복용 환자 4839명 대상, 모든 이상반응 발생 조사1회 이상 복용 환자 4839명 대상, 모든 이상반응 발생 조사 호중구 감소증 발생률 0.29%…티클로피딘 단독제제 대비 2.9% 감소
유유제약은 자사 개량신약 항혈소판제 ‘유크리드’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연구결과가 SCI급 저널인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학술지에 게재된 이번 연구는 유크리드(티클로피딘+은행엽엑스)를 1회 이상 복용한 혈관성 질환 환자 4839명을 대상으로 호중구 감소증, 출혈 등 모든 이상반응 발생률을 측정해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결과 티클로피딘 단독제제의 호중구 감소증 발생률은 2.9%였는데 반해 유크리드 복용군에서는 호중구 감소증 발생률 0.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특히 심각한 중증의 호중구 감소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전국 89개 기관에서 4839명의 혈관성 질환 발생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유크리드 처방 시작 3개월째 임상 경과 및 혈액 검사 결과를 조사하는 연속조사방식에 의한 코호트연구로 진행됐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유크리드정이 기존 티클로피딘 단독제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개선함으로써 경동맥‧말초혈관 질환 환자 및 뇌졸중 재발 환자에 있어 충분한 효과와 안전성이 있는 약물이라는 것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CYP2C19 유전자 변이(type2*, type3*)가 많은 동양인을 비롯한 한국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제로, 클로피도그렐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이 시사돼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08년 출시된 항혈소판제 유크리드는 유유제약이 자체 개발한 약으로 2018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정한 315개 국가필수의약품 리스트에 등재된 바 있다.
유크리드는 △만성 동맥폐색증 △허혈성 뇌혈관 장애 △관상동맥질환에 수반되는 궤양‧동통‧냉감 등 허혈성 제증상 개선 △관상동맥 내 스텐트 삽입시술 후 아급성 혈전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문화저널21 박영주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유유제약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